본문 바로가기
Landscape Architecture

연못이 제공하는 생태계서비스

by 뺭삥뽕 2023. 9. 20.
반응형

생태연못

생태연못이 뭔가요?

생태연못은 곤충류와 저서생물의 서식처로 환경 내에서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는 생태계이다. 보통 고여있는 호수나 연못의 물은 생태계의 오염과 더불어 서서히 썩어가서 부영양화를 일으켜 생물이 살아갈 수 없는 새로운 오염원으로 변질된다. 이러한 고여있는 물의 부패를 방지하거나 연못을 조성할 때부터 물이 썩지 못하도록 자갈, 수생식물 등 인위적으로 수질정화기능을 부여하여 조성하며 부가적으로 규모가 수용이 가능하다면 수영장의 기능도 할 수 있다.

생태연못에 기대할 수 있는 효과

  • 1차 소비자수의 종수 증대에 기여한다.
  • 생물다양성을 보전할 수 있다.
  • 생태적 층위와 먹이사슬의 안정성을 유지한다.

 

생태연못의 구성요소

1. 수문

  • 수면 : 연못 면적의 60% 이상을 개방 수면으로 한다.
  • 수심 : 일반적으로 30cm 이상이며 깊은 수심은 1m 정도로 설계한다. 어류 서식처는 동결선 이하의 깊은 수심에 설계하고 인공지반에 연못을 시공할 때는 올바른 차수제를 사용하여 누수를 방지한다.
  • 수위 : 지속적인 공급으로 수위를 유지하도록 한다. 수위의 변동은 어류의 산란처 노출, 식재지 축소를 발생하게 한다.
  • 수질 : BOD 10ppm 이하로 유지하고 수질 정화용 갈대 수로 배치 등을 한다.
  • 수원 : 지표수(빗물, 강물), 지하수를 이용하고, 자연토지에 조성할 경우 지하에서 용수가 나오는 곳이 최적지이다.
  • 수온 : 그늘 조성으로 여름철 수온상승을 방지한다. 높은 수온은 수생식물의 생장을 방해하는 요소이다.
  • 유속 : 느린 유속이 수생생물의 다양성 유지에 좋다.
  • 유입구 및 출수구 : 지표수 이용 시 유입수와 유출수의 흐름을 파악하여야 한다. 유입수는 흙을 끌어들여 퇴적시킬 수 있고 출수구는 유입구보다 좁게 만든다.

2. 식생

  • 산란 · 우화 · 휴식 · 먹이 채취 장소가 될 수 있다.
  • 개화기 · 계절별 경관, 수생식물의 수심, 꽃의 색채 및 적정한 식재법을 고려한다.
  • 수생식물은 생장속도를 고려해 배식형태를 결정한다.

3. 토양

  • 매토종자가 풍부한 토양을 사용해 식생회복을 촉진한다.
  • 다공질 공간을 배치한다.
  • 부식질이 많고 부드러워야 한다.
  • 투수성, 통기성, 배수성이 좋아야 한다.
  • 산도는 중성에 가까워야 한다.
  • 영양물질을 함유하고 유해물질은 없어야 한다.

 

생태연못의 설계

  • 종 다양성을 높이기 위해 관목 숲, 다공질 공간과 같은 소생물권과 연계되도록 한다.
  • 입수구의 물의 유속과 수심, 바닥형상에 변화를 주어 다양한 서식환경을 조성하며 물은 순환시키고 물순환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정화되도록 한다. 단, 비상용 급수를 위해 상수원과 연결한 급수체계를 확보한다.
  • 흙, 섶단, 자연석과 같은 자연재료를 도입하고 주변에 향토수종을 배식하여 자연스러운 경관을 형성한다.
  • 조류, 어류, 곤충류 및 기타 생물들을 유인하기 위하여 못 안과 못 가에 수생식물을 배식한다.
  • 바닥의 물 순환을 위하여 바닥 물길을 설계한다.
  • 넓은 가장자리에 식생선을 확보한다.
  • 개천, 경계풀밭, 생울타리와 연결하여 망을 형성한다.
  • 쓰레기 적치장이나 사토장과 같은 시설은 제거하고 가축 방목으로 인한 훼손으로부터 보호한다.

야생동물 서식처 목적의 생태연못

  • 생물 서식공간의 보전, 복원, 창출 때문에 이익을 받는 종이 있지만 불이익을 입는 종도 있으므로 생물 서식공간을 조성하는 경우는 입지선정과 규모, 성격과 같은 요소에 따라 각종의 생태학적 분석을 통해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못의 내부에 섬을 만들어 식생 기반을 조성하고 야생동물을 유인하여 종 다양성을 확보한다.
  • 최소 폭은 5m 이상 확보하고 주변 식재를 위한 공간을 확보한다.
  • 호안은 곡선으로 처리하고, 바닥에 적정한 기울기를 두어 다양한 생물 서식공간으로 설계한다.
  • 오염되지 않은 물을 수원으로 확보한다.
  • 못에는 다양한 서식환경의 조성을 위한 배식을 한다.

수질정화 목적의 못

  • 수질정화 시설의 유출부에 설치하여 1차 처리된 방류수(방류수 20ppm)를 수원으로 한다.
  • 못 안에 붕어와 같은 물고기를 도입하고, 부레옥잠, 달개비, 미나리와 같은 수질정화 기능이 있는 식물을 배식한다.
  • 다양한 식생을 도입하며 생물 서식공간으로서의 기능을 함께 고려한다.
  • 유기 · 무기물질 제거, 재생이용 및 재순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 유독성 물질(살충제), 중금속(Cd, Pb, Hg, Zn 등)과 같은 물질 제거도 부수적으로 고려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