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andscape Architecture

자연하천의 구조 및 식생에 관하여

by 뺭삥뽕 2023. 9. 22.
반응형

자연하천

자연하천의 지형

자연하천은 하천의 구조와 기능이 유기적이면서 서로 결합하여 장기간에 걸쳐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는 수공간을 말한다. 수계와 토양, 하천의 녹지 및 주변의 토지에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며 이들의 상호작용으로 고유한 생태계가 만들어진다. 입지와 환경여건에 따라 점차 하천 고유의 형태와 경관특성 및 생태적 특성이 다른 하천이 되며 다양한 지형이 출현하게 된다. 하천의 종단구역을 형성하는 원인에는 산지 지형에 따른 경사, 하천의 침식작용, 토사의 운반 및 퇴적작용 등이 있으며 제1 구역 상류부(원류_Head Water), 제2 구역 중류부(운반구역_Transfer Zone), 제3 구역 하류부(퇴적구역 Depositional Zone)로 나눌 수 있다.

하천의 평면구조

1. 유로 : 단일 유로하천(유로가 하나로 이루어진 하천)과 다중 유로하천이 있다.

  • 망상하천 : 유량의 감소 또는 토사량의 증가에 따라 사주가 형성되면서 발달하게 되며 유로의 폭이 넓고 수심이 얕다.
  • 접합하천 : 망상하천보다 경사가 훨씬 평평한 경우 만들어지며 하천 폭이 좁고 수심이 깊다. 제방이 세립질의 점착성 유사로 구성되어 침식에 저항성이 높다.

2. 사행도

  • 뱀과 같이 굽어져서 범람원을 좌 · 우 또는 앞 · 뒤로 가로지르는 주된 하도를 만들며 흐르는 모양이다.
  • 자연하천의 기본형이며 상류부와 중류부는 사행도가 낮고, 하류부는 높다.

3. 사행 유로와 물흐름에 의한 작용

  • 사행으로 인해 빠른 물흐름과 느린 물흐름이 발생한다.
  • 유속이 느리면 토사의 침전과 퇴적이 일어난다.
  • 유속이 빠르면 하천 호안의 침식이 활발하다.

하천의 입면구조

1. 하도

  • 하천을 이루고 있는 일정한 물길을 의미한다. 저수로라고도 하며 항상 물흐름이 있는 공간이다.
  • 퇴적물을 운반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여 하천의 미지형을 출현시킨다.
  • 수색식물과 습생식물이 자라며 무척추동물의 서식처, 어류의 서식 및 피난처의 역할을 한다.

2. 홍수터 · 범람원

  • 범람원은 하천 양쪽의 평탄하고 낮은 지형으로 구성물질은 상류에서 바다로 운반되다가 하천의 범람에 의해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현재의 위치에 쌓여 있게 된 곳이다.
  • 대개 하천의 하류에 발달하며 거의 논으로 이용되고 있다.
  • 교목, 관목, 초본식물 등이 자라며 어류의 서식 및 피난처, 양서 · 파충류 서식처, 조류 산란처로 이용된다.

3. 자연제방

  • 홍수시 하도를 넘어 범람한 물은 유속이 겨감하여 운반하던 물질을 그 자리에 쌓게 되는데 모래와 실트같이 입자가 비교적 크고 무거운 물질을 하천 양안에 쌓아 지면이 약간 높은 자연제방을 형성한다.
  • 비교적 높고 모래와 실트 성분이 많아 홍수피해가 적고, 배수가 잘 되므로 밭 · 과수원 등으로 이용되고 취락이 발달하였다.

4. 배후습지

  • 자연제방의 뒤에는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은 배후습지가 형성되는데 주로 점토가 퇴적되어 있다.
  • 홍수가 나면 이내 침수되고, 점토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하수위가 높아 배수가 잘 되지 않는다.
  • 수초가 자라는 늪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인구 조밀 지역에서는 인공적으로 배수하고 제방을 쌓아 홍수를 방지하면서 대부분 비옥한 농경지로 개간되었다.

하천의 형성지형

  • 사주 : 하천의 하도를 따라 하성 퇴적물이 길게 능선을 이루고 쌓여 있는 퇴적지형이다. 유량이 많고 느린 물흐름이 모여서 형성된다.
  • 여울 : 하도 내 일정 구간에 형성된 자갈층이다. 폭기작용(공기공급작용)을 통하여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고 유속이 빠른 구간에 정착되는 부착조류와 같은 특정 수생생물의 먹이를 제공하며, 고저 차에 하상안정에도 기여하는 시설을 말한다.
  • 소(웅덩이) : 유속이 느려 부유물 및 오염물의 침전작용을 한다. 흡착작용 및 산화, 분해작용을 기대하고 수생식물의 서식처 제공, 홍수시 피난처를 제공한다.
  • 중도 : 물흐름과 유속의 변동으로 하천 가운데에 형성되는 섬을 말한다. 교목 · 관목 등이 자라 생물서식처 기능을 하고 하천수의 유속과 흐름을 조절한다.
  • 협수로 : 물흐름이 바뀌면서 수로가 나뉘어 형성되고 제방과 호안의 높이에 영향을 끼친다. 물흐름과 수변 서식처의 다양성 증대에 기여한다.

 

하천의 식생 구분

1. 수생식물 구역

  • 침수식물 : 뿌리는 물밑바닥에 정착하고 줄기와 잎은 물속에서 자란다. ex) 검정말, 나사말, 물수세미, 붕어마름 등
  • 부엽식물 : 뿌리는 수면 아래에 분포하고 잎과 줄기는 수면 위로 뜬다. ex) 개연꽃, 노랑어리연꽃, 마름, 수련 등
  • 부유식물 : 뿌리는 수중에 있고 잎은 물 위에 뜬 상태로 생육한다. ex) 개구리밥, 물옥잠, 부레옥잠, 생이가래  등

2. 습생식물 구역

  • 정수식물 : 물속 토양에 뿌리를 내리고 줄기의 아랫부분이 물속에 잠긴다. ex) 갈대, 부들, 줄, 달뿌리 등

3. 하원식물 구역

  • 토양함수량이 높은 곳에 서식하는 식물종이 생육하고 있다. ex) 버드나무, 물푸레나무 

4. 하변림 구역

  • 연수목구역 : 하천의 영향을 받는 범위 내에 수림대 형성한다. ex) 버드나무, 사시나무, 오리나무, 귀룽나무 등
  • 경수목구역 : 재질이 단단한 수목이 분포한다. ex) 느릅나무, 팽나무, 황철나무 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