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andscape Architecture

창의력 키우는 어린이 놀이공간

by 뺭삥뽕 2023. 10. 11.
반응형

아이와 노을

어린이놀이공간은 어린이들의 신체단련뿐만 아니라 정신수양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어린이놀이터 ⋅ 유아놀이터 등의 공간을 말한다. 어린이의 신체 발달과 정서 함양, 사회성 및 건강 증진을 위한 목적을 가지고 설계를 하도록 한다.

 

조사 검토사항 및 설계 고려사항

1. 조사검토사항

  • 놀이시설이 설치되는 공간의 면적 · 규모, 규제 등의 법적 조건을 검토한다.
  • 놀이공간의 지형 · 배수 · 식생 등 부지의 자연환경조건을 조사 · 분석한다.
  • 설계공간의 종류 · 규모 · 성격을 기준으로 사회 · 인문환경과 계획조건을 조사하고 분석한다.
  • 이용자의 연령, 성별, 이용시기 등과 유치권 및 장래의 변화 추세를 분석한다.

2. 설계 고려사항

  • 어린이의 상상력, 창조성, 모험성, 협동심을 키우도록 설계한다.
  • 어린이들이 스스로 환경에 관한 관심을 높일 수 있도록 흥미 있고 참여할 수 있는 시설을 설계한다.
  • 놀이시설에서 친근감과 흥미를 느끼게 해야 한다.
  • 안전하면서도 쾌적한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지내력, 적재하중, 동하중, 재료규격, 경제성 등의 조건을 고려한다.
  • 장애인의 행동 · 심리특성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 지붕이 있는 놀이시설의 경우에 태양광발전시설의 도입을 검토한다.

 

 

 

 

놀이터 · 어린이공원 설계기준

1. 놀이터 설계기준

  • 독립단위의 놀이터 또는 큰 공원의 한 부분으로 삽입 · 설치하며 평탄하거나 완만한 구릉지를 적지로 하되 위험한 급경사지는 정지하여 조성한다.
  • 이용자가 자동차도로와 교차하지 않고 접근 가능해야 하며 접근로의 기울기는 유모차를 끌 수 있을 정도로 완만해야 한다.
  • 출입구는 공원 내부에 통과 동선이 발생하지 않도록 선정하여야 하며 놀이시설물은 어린이의 연령과 놀이그룹의 규모, 예산, 놀이터의 유형 및 위치,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되 융통성이 있어야 한다.
  • 놀이기구 및 기타 시설의 수는 공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정한다.
  •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의한 안전인증을 받은 어린이 놀이기구를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에 의한 어린이 놀이시설의 시설기준 및 기술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한다. 
  • 면적의 60% 이하만 공원시설로 조성하고 그 외 면적은 녹지로 확보하여 자연교육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다.
  • 어린이의 안전과 환경성 질환을 고려하여 환경보건법에 의한 환경안전기준에 따른다.

2. 어린이공원 설계기준

  • 어린이를 주 이용 대상자로 하되 위치에 따라 근린주민이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주변과의 연계성을 검토하여 공원경계를 정한다.
  • 어린이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다. 통과 동선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부동선과 출입구를 선정하고 정적인 공간과 동적인 공간을 균형 있게 배치하며 지형을 고려한 놀이공간 배치로 자연 발생적인 놀이를 유발하도록 한다.
  • 창의력이 충분히 발휘되도록 시설의 다양성을 도모하며 놀이기구 및 기타 시설의 수는 공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정한다.
  • 나머지 기준은 놀이터 설계기준을 따른다.

3. 공간계획 · 식재계획 방향

1) 공간계획 방향

  • 다양한 소재의 도입
  • 어린이의 발달단계 특성을 고려한다. ex) 어린이의 공간인지 단계
  • 어린이의 참여로 디자인과 아이이어를 도출한다.
  • 친환경적인 놀이공간으로 조성한다.

2) 식재계획 방향

  • 대상지의 환경조건을 고려하여 식재한다.
  • 수목의 원활한 생육 및 경관을 향상한다.
  • 거주자의 분포와 연령 및 행태를 고려한 수목과 시설물을 선정한다.
  • 정적인 놀이공간과 휴게시설 주변에 식재하도록 한다.

 

 

식재 및 시설물 설계 방법

1. 어린이놀이공간 식재설계 방법

  • 공원의 조성 목적과 특성을 강화하여 식재하도록 한다.
  • 바람, 소음 등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하는 식재를 하도록 한다.
  • 공간 간 기능을 분리하거나 조합하여 식재한다.
  • 동선을 유도하거나 차폐하는 기능도 하도록 한다.
  • 산책로, 화단, 잔디밭의 경계를 둘러싸서 장식기능과 위요기능을 강화하도록 한다.
  • 공간의 성격에 따라 달리 식재한다.
  • 놀이공간 주변과 각 공간에 그늘을 조성하여 보호자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한다.

2. 어린이 놀이시설 설계방법

  • 다양한 놀이시설 배치로 놀이의 흥미를 느끼도록 하고 정적인 놀이공간과 동적인 놀이공간은 분리하는 등 놀이 행태를 고려하여 배치한다.
  • 놀이시설은 평탄한 부지를 확보하여 설치하고 경사 및 굴곡진 지형을 이용하여 공원 경계를 이루며 이질적인 환경을 완충하는 공간을 마련한다.
  • 어린이의 사용에 위험이 없는 시설을 설치하도록 하며 이용의 편의성과 유지관리도 고려한다.
  • 주거지와 유기적인 동선으로 연결하며 미끄럼대 등 높이 2m가 넘는 시설물은 인접한 주택과 정면 배치를 피하여 배치하도록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