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andscape Architecture

공원과 녹지의 체계 및 그린인프라

by 뺭삥뽕 2023. 9. 8.
반응형

공원 입구모습 전경

공원 · 녹지체계

1. 공원, 녹지체계의 역사

  • 영국의 공공공원 : 순수하게 시민의 이용을 목적으로 조성된 공원이 등장. ex) 런던의 빅토리아 파크, 리버풀의 버큰헤드 공원
  • 미국 : 옴스테드가 계획한 보스턴공원, 녹지체계, 연결된 녹지(Linked Green Spaces) 개념을 주장, 하워드의 전원도시에 영향을 주어 단지 중앙에 띠 형태의 녹지를 배치

2. 단지계획 시 공원, 녹지체계의 유형

  • 집중형 : 단지 내의 녹지가 단지의 중심에 모임, 녹지의 면적이 크고 생태적 안정성이 높음, 접근성은 떨어짐
  • 분산형 : 녹지를 단지 전체에 고르게 배치, 접근성은 좋으나 단위 녹지의 규모가 작음
  • 대상형 : 일정한 폭으로 길게 조성된 녹지, 주거동을 정형 배치한 주거단지에서 주로 사용, 단지 외부로부터 바람 · 먼지 · 소음 · 매연 등을 차단하는 완충녹지의 형태
  • 격자형 : 대상형 녹지를 가로 · 세로로 겹친 형태, 녹지의 안정성과 접근성이 좋으나 작은 녹지가 여러 곳에 배치되어 녹지 폭은 좁아짐
  • 원호형 : 일정한 폭의 녹지가 곡선으로 길게 연결된 형태, 비정형적인 형태의 주거단지에 많이 나타남, 기능은 대상형과 유사함. 즉 완충녹지와 하천을 따라 녹지가 조성되는 경우가 해당함
  • 방사형 : 단지 중심부에서 외부로 뻗어 나가는 형태, 녹지 접근성이 좋고 보행자 전용도로의 녹지를 확보할 수 있음, 단지 내 차량통행은 불편함, 래드번(Radburn) 등 슈퍼 블록을 도입한 주거단지에서 적용함
  • 쐐기형 : 삼각형의 녹지가 단지 외곽에서 단지 내부로 파고드는 형태, 도시개발 시 미개발지를 녹지로 활용할 때 만들어짐, 중심부에 고밀도의 토지이용을 수용하므로 도시 전체의 녹지면적 증대나 환경개선에 기여
  • 거미줄형 : 방사형과 환상형이 중복된 형태, 격자형 녹지와 유사한 기능을 발휘
  • 환상형 : 녹지가 단지의 외곽을 둘러싸거나 단지 중앙에 원형의 띠로 배치되는 형태, 접근성은 좋으나 넓은 녹지면적이 필요하고, 폭이 좁을 때는 녹지의 생태적 기능을 기대하기 어려움

 

그린인프라(Greeninfra)

  • 인프라 스트럭처 : 경제 활동의 기반을 형성하는 기초적인 시설과 시스템을 말하며, 도로나 하천, 항만, 공항 등과 같이 경제 활동에 밀접한 사회 자본을 말한다. 흔히 인프라라고 부른다.
  • 그린 인프라 스트럭처 : 녹색 기반시설로 생태계 기능회복을 목표로 복합적 기능을 가진 높은 가치의 자연적인 공안 혹은 자연에 가까운 공간들의 네트워크로 수역, 산림, 공원 등의 녹색 사회기반시설

그린인프라의 가치

  • 환경 생태적 가치 : 생태공간 형성, 도시의 생태시스템 구축 요소, 도시의 모든 생태 활동 지원
  • 경제적 가치 : 공공재, 공간과 환경의 가치향상으로 인한 경제적 효과, 인지도 및 정체성 향상

그린인프라의 필요성과 장점

  • 과거에는 경관이 수려하거나 생태적으로 중요한 구역만 보호하면 된다고 생각하였으나 그로 인한 결과로 서식지 파편화로 인한 멸종, 지역의 황폐화 등이 있었다.
  • 토지개발의 수요와 환경문제 해결 및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자연자원의 보전을 위한 전략이 필요해졌다.
  • 자연지역의 지리적 위치와 기능을 활용한 네트워크를 통해 인간과 생물에게 혜택을 증진하는 그린인프라는 지속적인 도시의 확산을 방지하고 자원의 소실을 억제할 수 있으며 토지개발과 보전에 대한 합리적인 의사결정 및 계획 도구가 될 수 있다.
  • 기반시설과 달리 생명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도시 열섬효과 저감, 대기오염 개선, 생태계 다양성 보전, 사회적 소통 증가, 지역 관광산업 증진 등 효과가 있다.

그린인프라 사례 : Maryland

  • 1991년 그린웨이 위원회를 설립하여 야생동물의 이동 통로와 자연경관을 즐길 수 있는 산책로로 활용될 네트워크를 조성하고자 함
  • 90년 중반부터 토지 보전에 초점을 맞춘 포괄적인 접근을 시도함
  • 어떤 토지를 우선하여 보전해야 할지 판단하기 위해 대규모의 국토를 평가하는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토지 피복, 생물종, 하천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중첩하여 분석함.
  • 그린인프라의 네트워크 중 공백이 나타나는 부분을 복원 우선순위로 선정
  • 현재까지 그린인프라 평가를 시행하고 있으며 2000년 중반에 국토 개발 전반에 그린인프라를 통합하여 고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결의안을 통과시킴

그린 인프라의 긍정적 기능 발휘를 위한 원칙

1) 성격 규정 및 범위 설정

  • 생태 하부구조로서 그린 인프라의 성격 규정
  • 그린 인프라의 구체적 범위 설정

2) 인프라의 종합적 배치

  • 단순한 배치, 축 · 망의 형성에서 탈피
  • 축 · 망 · 배치원칙 · 인프라 유형의 통합

3) 기존 인프라와 유연한 연계

  • 상부 · 하부 인프라와의 연계 강화
  • 기존 녹지 네트워크와의 연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