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andscape Architecture

경관(Landscape)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

by 뺭삥뽕 2023. 9. 5.
반응형

바다 및 도시경관

경관이란?

경관은 산이나 들, 강, 바다 따위의 자연이나 지역의 풍경을 말한다. 지리적으로 봤을 때 기후, 지형, 토양 따위의 자연적 요소에 대하여 인간의 활동이 작용하여 만들어낸 지역의 통일된 특성이라 볼 수 있으며 자연경관과 문화 경관으로 구분한다.

  • 자연경관 : 산림경관, 초지경관, 해양경관
  • 문화경관 : 도시경관(가로경관, 주거지경관, 수변경관), 농산어촌경관(역사경관, 경작지경관)

풍경은 '경치를 바라보다.' 또는 '경관이 보인다'는 의미와 함께 상대적으로 관찰자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풍경은 매력이나 아름다움이 있는 시각적 장면에 해당하며, 경관은 미적인 가치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는 풍경보다 개방적이고 폭넓은 개념이다. 경관은 생태적, 미적, 철학적, 경제적 측면으로 내용이 나눠진다.

경관의 특성

  • 경관은 토지, 생태계, 인간의 사회적 · 문화적 활동을 포함
  • 포괄적이고 유연성이 있음
  • 경관을 구성하는 자원이 다양하게 분포
  • 일차적으로 보이는 풍경이나 내재하는 의미가 있음

문화경관

자연환경과 인간활동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된 경관으로 '시간'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문화경관은 지역과 장소 정체성 및 지역 고유의 문화유산 보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언어문화경관, 종교 문화경관, 민속 문화경관, 주거 문화경관, 산업 문화경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유네스코 문화경관의 세부유형

1. 규정된 경관(Defined Landscape)

  • 가장 대표적인 유형
  • 인간에 의해 의도적으로 설계 · 창조되어 규정하는 경관

2. 유기적으로 진화된 경관(Organically Evolved Landscape)

  • 초기의 사회적 · 경제적 · 행적적 · 종교적 필요의 결과로 이루어진 것
  • 자연환경과 연계되거나 반응한 결과 발생한 현재의 형태
  • 잔존(화석) 경관(Relict or Fossil Landscape), 지속되는 경관(Continuing Landscape)

3. 연상적 문화경관(Associative Cultural Landscape)

  • 자연적 요소가 불러일으키는 강력한 종교적 · 예술적 · 문화적 연상에서 그 정당성을 찾을 수 있는 경관
  • 중요한 식별요소 : 남아 있는 가시적인 형태

유네스코 세계유산 글 바로가기

https://smij.tistory.com/entry/%EC%9C%A0%EB%84%A4%EC%8A%A4%EC%BD%94-%EC%84%B8%EA%B3%84%EC%9C%A0%EC%82%B0-UNESCO-HERITAGES

 

경관요소와 경관자원

경관요소는 여러 가지 유형으로 나뉘고 개별성을 지니고 있으며 경관단위는 경관요소가 모여서 일정한 면적을 차지하거나 다른 곳과는 시각적 · 물리적으로 확연히 다른 경관을 형성하여 경계가 뚜렷한 곳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형태와 규모, 그리고 질을 가진 경관요소가 모여 하나의 경관단위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경관요소와 경관단위를 합하여 경관자원이라고 한다. 경관 내에서 한 지점을 경관거점이라고 하며 이는 경관을 전망하거나 조망하기 위해 설정한다.

경관요소의 종류

  • 점요소 : 경관거점 또는 일정 지점이나 위치. ex) 산 정상, 정자목, 외딴집 등
  • 선요소 : 연속성을 지님. ex) 가로수 식재공간, 자전거도로, 장애인 유도 블록 등
  • 곡선요소 : 구릉, 산정, 스카이라인
  • 직선요소 : 건축물의 직선, 도로 등 인공구조물의 직선
  • 면요소 : 동질적인 요소가 모여 경관 구역 형성. ex) 광장, 전답, 운동장, 초지, 호수 등
  • 수평적 요소 : 저수지, 수면, 오픈스페이스 등
  • 수직적 요소 : 전신주, 절벽, 장송 등
  • 닫힌 공간 : 구릉지, 계곡, 산림 등에 둘러싸인 평탄한 중심공간
  • 열린 공간 : 시야를 가로막는 사물이 없는 트인 공간. ex) 해안가, 들판, 넓은 초지, 옥상
  • 경사지 : 경사가 급해 돌출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잘 보임, 급경사 부분 훼손 시는 경관의 질에 영향이 큼
  • 랜드마크 : 식별성이 높은 지형이나 지물, 독특함이 있어 눈에 잘 띄는 장소나 사물
  • 전망 : 일정 지점에서 바라볼 때 역동적으로 펼쳐지는 경관
  • 조망 : 좌우 시야가 제한되고 일정 지점으로 시선이 집중되는 경관
  • 형태 : 사물이 모양. ex) 나무의 수형, 인공구조물의 형태 등
  • 크기 : 물체의 높이와 길이 및 폭, 면적, 체적. 경관의 규모를 결정
  • 질감 : 경관의 질감은 지표 상태나 계절에 따라 달라짐.
  • 색채 : 계절이나 빛에 따라 다르게 지각할 수 있음. ex) 건축물의 색채, 수목의 색채, 시설물의 색채 등

녹지 면적에 관한

1. 녹지율

  • 녹지로 조성된 토지가 점유하고 있는 면적의 비율
  • 토지이용계획 수립 시 주요 인자
  • 토지의 자연성 파악에 이용

2. 녹피율

  • 위에서 내려다볼 때 단위면적당 녹색식물로 덮인 면적의 비율
  • 평면적인 녹지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

3. 녹시율

  • 눈높이에서 눈에 보이는 범위 내의 녹색식물의 비율
  • 입체적인 녹색의 양을 측정
  • 50% 이상이 되면 비율이 높아져도 시각적인 차이를 느끼지 못함

4. 녹적률

  • 잎이 달린 가지가 차지하는 체적의 비율
  • 녹지의 구조와 기능을 강조
  • 식재 밀도 파악 및 완충녹지 조성에 활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