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andscape Architecture

보행을 편리하게 만들어주는 포장

by 뺭삥뽕 2023. 9. 14.
반응형

자갈포장

포장의 정의 및 기능

포장은 경질의 지면 구성요소이며 내구성 있는 지표면을 조성하는 데 사용되는 기법이다. 자갈, 목재 등의 자연재료와 벽돌, 타일, 콘크리트 등의 인공재료가 쓰인다. 비교적 유연성이 없는 표면재료를 사용하므로 고정되어 있고 변화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조경분야에서는 보행자 및 자전거 통행과 차량 통행의 원활한 기능 유지를 목적으로 지표면과 도로의 선형을 유지하기 위한 포장 및 경계블록 등을 설치한다.

조경설계기준에 따른 포장에 관련된 용어의 정의

  • 보도용 포장 : 보도, 보차혼용도로, 자전거도, 자전거보행자도, 공원 내 도로 및 광장 등 주로 보행자에게 제공되는 도로 및 광장의 포장을 말한다.
  • 간이포장 : 비교적 교통량이 적은 도로의 도로면을 보호 · 강화하기 위한 도로포장으로 주로 차량의 통행을 위한 아스팔트콘크리트포장과 콘크리트포장을 제외한 기타의 포장을 말한다.
  • 강성포장(rigid pavement) : 시멘트콘크리트포장을 말한다.
  • 연성포장 : 아스팔트콘크리트포장, 투수콘크리트포장 등을 말한다.
  • 충격흡수보조재 : 합성고무 SBR(스티렌 · 부타디엔계 합성고무)을 고형 폴리우레탄 바인더로 접착하여 탄성과 침투성을 갖도록 한 것을 말한다.
  • 직시공용 고무바닥재 : EPDM(에틸렌 · 프로필렌 · 디엔계 합성고무) 입자를 폴리우레탄 바인더로 접착시켜 과산화수소나 유황으로 경화한 것을 말한다.
  • 인조잔디 : 폴리아마이드, 폴리프로필렌, 기타 섬유로 만든 직물에 일정 길이의 솔기를 단 기성 제품을 말한다.
  • 고무블록 : 충격흡수보조재에 내구성 표면재를 접착시키거나 균일재료를 이중으로 조밀하게 하고, 표면을 내구적으로 처리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성형 · 제작한 것으로 일반 고무블록과 고무칩이나 우레탄칩을 입힌 블록 등을 말한다.

포장이 가지고 있는 기능

  • 외부공간 한정과 방향 지시
  • 통행의 속도와 흐름 조정
  • 도시 기온 상승 방지
  • 지표 하부로의 강우 침투 저해

 

포장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하는 사항

사전 검토사항

  • 이용 목적, 이용 상황, 이용 행태 등의 사회 · 행태적 조건
  • 지형, 지질, 배수상황, 지하수의 높이, 지반조건, 기상, 동결심도 등 자연환경조건
  • 유지 관리의 정도나 정체성
  • 포장에 적합한 기능과 효과
  • 관련 법규

고려사항

  • 포장설계는 필요강도에 적합한 재료선정 및 구조설계와 같은 물리적 요소와 포장 평면의 문양설계 같은 조형적 요소를 동시에 고려하여 포장의 여러 조건과 기능 및 효과를 충족시켜야 한다.
  • 포장평면의 문양설계는 색채 · 질감 · 형태 · 척도 및 주변 시설과의 조화 등 여러 조형요소들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포장의 구조

  • 일반적인 포장은 표층 · 중간층 · 기층 · 보조기층 · 차단층 · 동상방지층 및 노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 강성포장은 콘크리트 슬래브 · 보조기층 · 동상방지층 및 노상으로 설계한다.
  • 포장의 용도와 원지반 조건 등의 조건에 따라 방진처리와 표면처리를 위한 표층만의 포장이나, 표층과 기층만드로 구성되는 간이포장 등 여러 가지 형태의 포장구조를 선택한다.
  • 포장두께 및 각 층의 구성은 교통하중 · 노상조건 · 사용재료 및 환경조건을 고려하여 경제적으로 설계한다.

시멘트 콘크리트포장의 줄눈

  • 팽창줄눈은 선형의 보도구간에서는 9m 이내를, 광장 등 넓은 구간에서는 36m2 이내를 기준으로 하며 포장경계부에 직각 또는 평행으로 설계한다.
  • 수축줄눈은 선형의 보도구간에서는 3m 이내를, 광장 등 넓은 구간에서는 9m2 이내를 기준으로 하며 포장경계부에 직각 또는 평행으로 설계한다.

경계처리

  • 서로 다른 포장재료의 연결부 및 녹지 · 운동장과 포장의 연결부 등의 경계는 콘크리트나 화강석 보도경계블록, 녹지경계블록 또는 기타의 경계마감재로 처리한다.

배수처리

  • 포장지역의 표면은 배수구나 배수로 방향으로 최소 0.5% 이상의 기울기로 설계한다.
  • 산책로 등 선형구간에는 적정거리마다 빗물받이나 횡단배수구를 설계하고, 광장 등 넓은 면적의 구간에는 외곽으로 뚜껑 있는 측구를 두도록 하며, 비탈면 아래의 포장경계부에는 측구나 수로를 설치한다.
  • 배수구역별로 빗물받이 등 적정한 배수시설을 설치하고 계획된 집수시설이나 기존 관로에 연결한다.

식재수목 주변의 포장

  • 식재수목 주변은 투수성 포장으로 한다.
  • 포장지역 내의 식재수목 주변은 원지반의 토질분석과 결과를 고려하여 별도의 배수시설과 수목보호덮개를 설치한다.

 

보도포장면 설계

포장면의 조건

  • 미끄럼을 방지하면서도 걷기에 적합할 정도의 거친 면을 유지해야 한다.
  • 요철이 없도록 하여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
  • 고른 면을 유지해야 한다.
  • 견고하면서도 탄력성이 있어야 한다.
  • 태양광선을 반사하지 않아야 하며 색채의 선정 시에도 이를 고려한다.
  • 비가 온 뒤에 건조속도가 빨라야 한다.
  • 건조 후 균열이 생기면 안된다.
  • 겨울에 동파되지 않아야 한다.

포장유형 선정

  • 보도용 포장은 각종 포장유형별 용도 및 시공법과 특성을 고려하여 해당 공간에 가장 적합한 포장유형을 선정한다.
  • 포장재료에 따라 경계부는 가능한 포장재 블록전체가 설계되도록 상세도 이외에 경계부 상세패턴도를 작성하도록 한다.

포장면 기울기

  • 보도용 포장면의 종단기울기는 1/12 이하가 되도록 하되 휠체어 이용자를 고려하는 경우에는 1/18 이하로 한다.
  • 보도용 포장면의 종단기울기가 5% 이상인 구간의 포장은 미끄럼방지를 위하여 거친 면으로 마무리된 포장재료를 사용하거나 거친 면으로 마감처리한다.
  • 보도용 포장면의 횡단경사는 배수처리가 가능한 방향으로 2%를 표준으로 하되, 포장재료에 따라 최대 5%까지 할 수 있다. 광장의 기울기는 3% 이내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운동장의 기울기는 외곽방향으로 0.5~1%를 표준으로 한다.
  • 투수성 포장인 경우에는 횡단경사를 주지 않을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