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이 변하면서 편리함은 늘어가고 있다. 인간은 자연에서 도시의 내부로 많은 양의 물질을 끌어들이고 에너지를 사용하여 제품을 생산, 소비하면서 여러 종류의 순환되지 않는 폐기물을 발생시킨다.
그로 인하여 도심의 건조와 홍수, 대기오염 및 토양오염, 생물서식처의 질 저하 및 쇠퇴, 외래식물의 출현, 잡식성 동물 우점 등의 환경·생태적 변화가 발생되고 있다.
1. 도시생태계의 정의와 구조
도시생태계란? 자연에서 제공하는 자원을 이용하여 생명을 유지하고 경제활동을 하는 인간과 생물로 구성된 생태계를 의미한다. 인간은 이 생태계 내부로 많은 양의 물질과 에너지를 수용하여 제품을 생산하고 소비하며, 그 결과 여러 종류의 폐기물이 발생한다.
도시생태계는 많은 인간과 생물이 생활하고 있으니 매우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른바 프랙탈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프랙털은, 기하학 연구 분야 중 하나로서, 자기유사성을 갖는 기하학적 구조를 뜻한다. 쉽게 말하면 어떤 도형의 작은 일부를 확대해 봤을 때 그 도형의 전체 모습이 똑같이 반복되는 도형에 관한 연구이다.
2. 도시생태계의 환경·생태적 문제
1) 도시토양 형성
(1) 주택단지 조성 시 땅의 평탄화를 위한 조성과정에서 대규모의 흙 쌓기, 흙 깎기 발생
(2) 콘크리트, 아스팔트 등으로 피복
(3) 자연토양과는 성질이 다른 토양 형성
2) 도시 기후 발생
(1) 도심지의 건조한 기후 발생
(2) 이상기온 발생
(3) 과다한 열 발생과 순환 차단
3) 다양한 환경오염 발생
(1) 화석연료 사용에 의한 대기오염
(2) 오염물질 등에 의한 토양오염
(3) 중금속 등에 의한 수질오염
(4) 미세먼지 피해
4) 수 순환 불량
(1) 도시 홍수 발생
(2) 지하수층 파괴로 저장량 고갈
5) 생물서식지의 훼손 및 파괴
(1) 산림의 파괴 및 녹지의 단절
(2) 생물의 터전 상실로 인한 멸종
(3) 귀화한 생물의 출현 및 확산
(4) 고유종의 구성비 변동
3. 도시생태계의 현상
1) 미기후
미기후는 환경여건에 따라 발생하는 매우 작은 규모의 기후를 말한다. 지표면 아래에서부터 지표면 위로 수 미터의 식생 군락 권역의 기후를 의미하는데 이는 지표에서 약 1.5m 높이의 기후이다.
미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식생, 온도 및 습도, 지표면의 반사작용, 지형의 굴곡, 토질 등이 있다.
- 토양의 온도변화를 줄이며 토양이 노출된 지역은 매우 큰 온도변화를 보이므로 식생의 역할이 중요하다.
- 습한 지표면은 증발을 촉진하여 습도를 높이고, 건조한 토양은 토양 내 수분이 대기 중으로 확산되지 않으므로 건조한 대기를 유지한다.
- 밝은색 토양은 반사작용이 많아 낮 동안 가해지는 열을 덜 받는다.
- 지형에 따라 공기의 순환이 달라진다.
- 토질에 따라 토양의 온도가 달라진다.
2) 열섬현상
기온분포를 나타내는 지점을 등온선으로 연결했을 때 도심부를 중심으로 등고선이 형성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1927년 오스트리아의 기상학자 W. 슈미트가 수도 빈의 기온분포를 조사해 도심으로 갈수록 온도가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도심과 교외의 온도차는 대체로 5~10 ºC정도가 난다.
열섬현상의 발생원인
1) 도시의 평균기온 상승
- 복사열에 의한 지표면 온도 상승
- 전력사용에 의한 폐열의 증가
- 도시의 매연이 태양열을 흡수, 저장하는 기능을 함
2) 물질순환 및 열 방출의 차단
- 고층건물의 요철 심화
- 바람 통로의 폐쇄
3) 교외와 도시의 단절
- 교외와 도시공간의 기후 차이 발생
- 도시 면적 증대로 서로 다른 환경 형성
4) 계절적 기온 변동
- 여름철 전력 사용량의 증가로 나타나는 열대야
- 오존층 파괴로 자외선 조사량 증가
열섬현상의 발생원인
1) 도시 구성요소의 소재와 재질
- 아스팔트, 벽돌, 유리의 대량 사용
- 인공 소재의 열저장 및 방출
2) 도시 가로의 구조
- 도시의 기온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침
- 건축물이 공간의 개폐 상태 결정
3) 도시구조물의 배치와 외관
- 지표면 인공화와 토지이용으로 결정
- 바람의 발생 양상 및 이동 방향에 영향
4. 녹지조성의 중요성
평안하고 행복한 도시를 만들기 위한 도심 속 환경의 중요성과 더불어 생활 속에서 공원과 녹지의 기능과 역할을 이해하고 관심을 갖는 게 중요합니다.
_공원과 녹지의 역할 (조경, 환경) - 천승호 사람책 (시흥사람도서관)
녹지의 양은 무조건 많을수록 좋다고 생각한다. 도시에서는 가로수 식재, 화단 조성, 띠녹지 조성 등 노력을 하고 있으나 자연환경과 비교하면 턱없이 부족하다.
맥아더와 윌슨은 생물종의 유지에 있어서 섬의 크기와 분리된 상태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도서생물지리설을 주장하였다. 크기가 큰 섬이고 서식처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서식지 보전 및 생물이 멸종을 줄인다는 이론인데 이처럼 녹지는 크면 클수록, 서로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효과가 크다고 하니 우리 모두 녹지조성의 중요성에 대하여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Landscape Archite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계가 원래대로 되돌아가기 위하여.. (0) | 2022.07.25 |
---|---|
산림에서의 생태계는 어떠한 상태인가? (0) | 2022.07.17 |
경관적으로 생태계가 가지고 있는 의미 (0) | 2022.07.16 |
생태계 안에서 개체군들은 어떻게 움직이고 있나요? (0) | 2022.07.13 |
조선시대 선조와 업적을 기리는 왕릉 (0) | 2022.07.10 |